2014.10.10 08:41
부가가치세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자!
稅내기 정보창고 ㅣ 부가가치세
지난번 '부가가치세란 무엇인가요?'라는 내용을 통해 부가가치세에 대해 알아보았죠?
'부가가가치세'는 우리 생활 속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세금이니만큼 많은 분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세금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~! 하지만 여전히 많은 개인 사업자분들이 힘들고 어렵게 생각하시는 부분이 바로 '부가가치세'라고 하는데요! 그러다 보니 부가가치세는 신고 · 납부 시 문제가 많이 생기는 세목 중 하나라고 합니다.
그래서 오늘은 많은 분이 어려워하시는 '부가가치세 유의 사항'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!
□ 전자세금계산서 제도 안내
○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의무화
- 사업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법인사업자와 직전년도 사업장별 공급가액 합계액이 일정규모 이상* 개인 사업자는 의무적으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여야 합니다.
* 개인 사업자 전자세금계산서 의무기준
공급가액 기준연도 |
기준금액 |
전자발급 의무기간 |
2013년 |
3억 원 이상 |
2014.7.1.~2015.6.30. |
2014년 |
3억 원 이상 |
2015.7.1.~2016.6.30. |
○전자세금계산서 발급‧전송 혜택 및 불이익
- (혜 택) 부가가치세 신고서(합계표) 작성 시 거래처별 명세표 작성의무 면제, 세금계산서 보관의무 면제, 발급 건당 200원 세액공제(연간 100만 원 한도, 법인 제외)
- (가산세) 발급의무자가 전자세금계산서를 미발급한 경우 : 공급가액의 2%, 지연발급 1%, 미전송 0.3%(법인 1%), 지연전송 0.1%(법인 0.5%)
전자세금계산서 발급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e세로 홈페이지(www.esero.go.kr)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|
□ 세금계산서를 철저히 받아 두어야 함
○ 재화나 용역의 매입 시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아야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○ 다음의 경우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을 공제받을 수 없습니다.
·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지 않거나, 필수적 기재사항이 누락 또는 사실과 다르게 기재된 세금계산서인 경우
· 매입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지 않거나 부실 기재한 경우
· 사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매입세액
· 개별소비세과세대상 승용자동차의 구입과 임차 및 유지에 관련된 매입세액
(운수업, 자동차 관련 업자가 직접 영업으로 사용하는 것은 제외)
· 접대비지출 관련 매입세액
· 면세사업 관련 매입세액 및 토지 관련 매입세액
· 사업자등록 전 매입세액(다만,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이 지난 후 20일 이내에 등록 신청한 경우 등록 신청일부터 공급시기가
속하는 과세기간 기산일까지 역산한 기간 이내의 것은 가능)
□ 세금계산서를 정확히 주고받아야 함
○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을 때에는 거래상대방의 사업자등록 상태(휴․폐업자인지 여부), 과세유형(일반과세자인지 여부)과 아래의 필요적 기재사항이 정확히 기재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.
① 공급자의 등록번호, 성명 또는 명칭 ② 공급받는 자의 등록번호 ③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액 ④ 작성연월일 |
○ 사업을 하다 보면 평소 거래를 하지 않던 사람으로부터 시세보다 싸게 물품을 팔 테니 사겠느냐는 제의를 받고 이를 구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⇒ 이런 경우 거래 상대방이 정상사업자인지, 세금계산서는 정당한 세금계산서인지 여부를 우선 확인해야 합니다. 왜냐하면, 거래상대방이 폐업자이거나, 세금계산서가 실제 물품을 판매하는 사업자가 아닌 다른 사업자 명의로 발행된 때에는 실제로 거래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매입세액을 공제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.
□ 거짓 세금계산서를 주고받는 경우의 불이익
○ 거짓 세금계산서란?
- 재화․용역의 실물거래 없는 세금계산서 및 필요적 기재사항이 잘못 기재된 세금계산서를 말합니다.
○ 거짓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은 경우에는 매입세액을 공제받을 수 없으며, 공급가액의 2%에 상당하는 세금계산서 관련 가산세, 신고불성실가산세 및 납부불성실가산세를 물어야 합니다.
- 소득금액 계산 시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며, 징역형 또는 무거운 벌금형에 처할 수도 있습니다.
○ 거짓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경우에는 공급가액의 2%에 상당하는 세금계산서 관련 가산세(사업자가 아닌 자가 발급한 경우도 포함)를 물고 징역형 또는 무거운 벌금형에 처할 수도 있습니다.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32 | 「명의신탁주식 실제소유자 확인제도」시행 | owner | 2014.08.13 | 13305 |
31 | 해외금융계좌 미신고 | owner | 2014.07.09 | 13362 |
30 | 저축 · 보험 · 증권과 세금 | owner | 2014.08.25 | 13435 |
29 | 교육비 세액공제제도가 무엇인가요? | owner | 2014.08.25 | 13473 |
28 | 근로장려금 - 기한후신청제도 | owner | 2014.07.09 | 13701 |
27 | 억울한 세금! 구제는 어떻게 받나요? | owner | 2014.08.25 | 13807 |
26 | 신규사업자를 위한 기초 세금상식! | owner | 2014.08.25 | 14030 |
25 | 국세청 세금포인트 제도에 대해 알아보자! | owner | 2014.07.19 | 14059 |
24 | 현명한 납세자가 되는 방법? 더 냈을 땐 돌려받고! 덜 냈을 땐 신고하는! '경정청구'와 '수정신고'를 꼭 알아두세요~ | owner | 2014.07.09 | 14191 |
23 | 모범납세자 우대제도 | owner | 2014.10.10 | 15028 |
22 | 세금을 제때 못 내면 어떤 불이익을 받게 되나? | owner | 2014.08.25 | 15408 |
» | 부가가치세 유의사항 | owner | 2014.10.10 | 15652 |
20 | 상속세에 대해 알아보자! | owner | 2014.10.10 | 15692 |
19 | 중소기업에 주어지는 추가 세금지원 혜택! | owner | 2014.10.10 | 15712 |
18 | 1세대 3주택의 경우 주택임대소득 과세여부 | owner | 2014.07.27 | 15718 |
17 | 연금과 세금에 대해 알아보자! | owner | 2014.10.10 | 15843 |
16 | 증여세 | owner | 2014.10.10 | 15899 |
15 | 취업 후 학자금 상환제도 | owner | 2014.10.10 | 15994 |
14 | 저소득층을 위한 개별소비세 | owner | 2014.10.10 | 16095 |
13 | 재고매입세액 공제제도 | owner | 2014.12.23 | 16161 |